Yoon&Lee Publishing

윤앤리 퍼블리싱 블로그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2 Comments

계층화, 구획화, 그리고 자유

얼마 전 올린 Mark Passio 강연 중 인상적인 인용문이 하나 있었습니다. 프리메이슨과 같이 계층화되고(hierarchical) 구획화된(compartmentalized) 구조를 가진 조직들에 대한 Phil Rockstroh씨의 설명이었습니다:

“The authoritarianism inherent to this structure is antithetical to the concept of the rights and liberties of the individual. Most individuals, bound by secrecy-prone, hierarchical values, will, over time, lose the ability to display free thinking, engage in civic discourse, and even be able to envisage the notion of freedom.”

“이 구조에 내재되어 있는 권위주의 사상은 개인의 권리와 자유에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다. 비밀과 계층의 가치에 묶여 있는 대부분의 개인은 시간의 흐름과 함께 자유롭게 사고하고, 토론에 참여하고, 심지어 자유에 대한 개념을 형성하는 능력 조차 상실하게 된다.”


계층화와 구획화의 개념에 대해 조금 더 설명하자면…

계층화(hierarchy) – 상하관계를 말하는 것입니다. 회사를 예로 들자면, 사장-임원-부장-과장-대리-신입사원 하는 식으로, 계층이 이루어져 있다는 것이죠. 자기보다 위에 있는 사람도 있고, 아래에 있는 사람도 있고… (위에는 잘 보여야 되고, 아래는 갈궈야 하고…). 극단적인 사례로는 인도의 카스트 제도를 들 수 있겠죠… 그리고 이 글을 보고 계시는 많은 분들이 공감하실 수도 있을 것 같은데, 비즈니스 세계에서는 갑을 관계도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사회에서 가진 직함이나 지위는 전부 나의 ‘역할(role)’이지, 나의 ‘본질’은 아닙니다. Passio 형님, 그리고 에크하르트 톨레(Eckhart Tolle) 형님이 늘 강조하듯이, ‘나의 역할’에 얽매이는 것은 에고에 대한 집착의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나’의 본질은 영원하지만, 역할은 일시적인 것입니다. 회사에서 짤리면 그 역할도 사라지죠. 그래서 사회에서 높은 지위에 올라 떵떵거리며 천하를 호령했던 사람들이 나중에 은퇴를 하거나 실각을 한 후 우울증에 빠지는 경우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 동안 ‘나의 역할’을 ‘나’와 동일시 했었는데, 역할이 사라지니까 ‘나’도 사라진 것 같은 기분이 드는 것이죠.

강연에서 Passio 형님은 통제 시스템으로부터 가장 많은 피해와 억압을 받고 있는 계층으로 통제의 도구 구실을 하는 경찰과 군을 지목했는데, David Icke 형도 국민들 때려잡는 경찰들에게 이런 얘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여러분에게 권력이 있는 것이 아니라, 여러분이 착용하고 있는 제복에 권력이 부여되어 있는 것입니다. 여러분은 그냥 그 권력의 제복을 움직이는 역할만 하고 있는 거라고요.”

군대만큼 계층화가 철저하게 되어 있는 조직도 흔치 않습니다 (경찰도 마찬가지겠죠?). 위에서 명령을 내리면 추호의 의문도 품지 않고 명령을 이행해야 합니다. 아래 설명할 구획화의 개념과도 연관되어 있는 내용이죠. 이유는 모르더라도, 일단 무조건 해야 합니다.

Hierarchy라는 단어를 자세히 살펴 보면, ‘아콘(Archon)’이 숨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Archon이란 단어는 원래 ‘왕, 지배자’를 뜻하는 단어입니다. 영지주의 전설에서도 아콘은 ‘이 세상을 지배하는 자들’로 묘사되고 있죠 (ㄷㄷㄷ). 계층 구조를 좋아하는, 파충류 의식… 파충류 뇌… 아콘이 숨어 들어 있는 또 다른 단어로는 ‘monarch’가 있습니다. Mon(하나, 유일한) + arch(왕), 즉 군주라는 뜻입니다. ‘Anarchy’는 아콘 앞에 부정을 의미하는 an- 접두사가 붙은 단어입니다. 즉, 안티(反) 아콘… ‘지배자 또는 주인이 없는 상태 (no rulers, no masters)’를 의미하죠.

구획화(compartmentalization) – 피라미드 구조의 맨 꼭대기에 있는 사람은 전체적인 그림을 볼 수 있지만, 아래로 갈수록 아는 게 적습니다. 기업의 CEO는 회사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파악하고 있지만(시시콜콜한 내용까지는 모르더라도 말이죠), 말단 사원은 큰 그림 중 극히 작은 일부의 기능만을 수행합니다. 비밀 프로젝트를 추진할 때도 이런 식으로 많이 한답니다. 아래 실무자들은 뭔가 열심히 만들고는 있는데, ‘내가 만들고 있는 부품’이 나중에 무엇의 일부로 쓰일 지는 모른다고 하죠. 최초의 원자폭탄을 만들 때도 이런 식으로 일을 진행했다고 들었습니다.

비즈니스 세계에 또 다시 비유하자면, generalist(다방면에 대해 두루 아는 사람)와 specialist(특정 분야에 대해 깊은 지식을 가진 사람)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학력이 높고 가방 끈이 긴 사람들(특히 이공계)은 주로 나중에 유능한 specialist가 됩니다. 하지만 자기의 전문 분야에서는 굉장히 깊은 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나, 그 분야 이외의 것들에 대해서는 잘 모르는 경향도 있는 것 같습니다. 제 명함에도 예전에 specialist라고 적혀 있었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generalist가 더 좋은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의 경우, 계속 IT 쪽 한 우물만 파다가 다른 일 하려니 바보가 된 듯한 기분이에요(ㅠㅠ). 그래서 직장에서 밀려난 후 퇴직금으로 자영업을 시작했다가 망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다른 나라들도 사정은 비슷하겠지만, 이런 계층화/구획화 구조는 군대나 경찰 뿐 아니라 사회 전반에도 강하게 반영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군대를 다녀 오면 사람 된다’는 말이 있는데, 본격적인 사회생활을 시작하기 전에 이미 계층화/구획화의 개념이 몸에 배어 있어서 부리기도 쉽고, 지시도 잘 따르기 때문에 그런 말을 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물론 ‘어떠한 시련도 이겨낼 수 있는 끈기와 인내심’ 같은 장점들도 얻을 수 있겠지만, 그게 악용될 수도 있겠죠 (예: ‘아무리 부당하고 어이 없는 일을 시키더라도 해야 한다’, ‘월화수목금금금의 생활을 하라면 해야 한다’).

진짜 Phil Rockstroh씨의 말대로, 이런 구조 하에서 오랜 시간을 보내면 권리와 자유에 대한 개념이 희박해지는 것 같습니다.


Leave a comment

에고(ego)의 특징

예전에 동영상으로 올렸던 조 디스펜자(Joe Dispenza) 인터뷰에도 언급되었던 내용인데, 인간은 3개의 뇌를 가지고 있답니다.

가장 오래된 소뇌(cerebellum)는 생존 본능을 담당하는 뇌로, R-complex 또는 reptilian brain(파충류의 뇌)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감정과는 무관하게, “일단 내가 살아야 한다”는 생각의 통제를 받는 영역이죠.

두 번째 뇌는 변연계 뇌(limbic brain)로, 감정을 관장합니다. 사랑, 연민, 배려심 등을 감정을 느끼게 해 주는 영역이죠. Mammalian brain(포유류의 뇌)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뇌의 표면에 있는 신피질(neocortex)이 있습니다. 인간을 동물들과 구분짓는 영역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이게 있기 때문에 예술도 창작할 수 있고, 언어도 구사할 수 있고… 

어쨌든, 우리가 소위 얘기하는 ‘에고(ego)’는 첫 번째 뇌인 소뇌와 연관이 있습니다. 인간의 최우선 목표가 생존이었던 시절에 반드시 필요했고(이게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으면 맹수의 밥이 됨), 따라서 가장 중시되었던 영역이죠. 3개의 뇌 중 어느 하나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 다 중요합니다. 무엇보다 균형이 중요하죠. 그런데 ‘에고’를 관장하는 소뇌에 너무 치중하게 되면, 균형이 깨지게 됩니다. 

 

다음은 에고의 대표적인 특징입니다:

 

에고의 특징


–  남 탓하기, 남 판단하기, 남 손가락질하기, 남 험담하기, 불평불만 쏟아내기

–  자신의 생각에 사로잡힘, 내가 반드시 옳아야 함, ‘적’이 꼭 있어야 함, 남에게 부정적인 딱지 붙이기

–  자신이 한 일에 대해 인정 받기를 요구하고, 인정받지 못했을 경우 분노함

–  나의 개인적인 문제들과 고통에 대해 떠벌리고, 사단을 일으킴으로써 관심을 유도함

–  아무도 물어보지 않았는데 자신의 의견을 말함 (그런데 당면 과제와는 무관한 얘기임)

–  남을 배려하기 보다는, 남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까에 대해 고민함 (에고를 강화하기 위해 남을 이용하는 행위)

–  재산, 지식, 외모, 지위, 근력 등을 이용하여 남에게 잘 보이기 위해 노력함

–  어떤 일 또는 타인에 대해 분노함으로써 일시적으로 에고를 달래줌

–  모든 것들을 개인적으로 받아들이고, 나를 향한 비난이라고 여김

–  쓸데 없는 논쟁 또는 불만 표출로 내가 옳고 남이 틀렸음을 입증하려 함

–  주목 받기를 원하고, 자신이 얼마나 중요한 사람인지 드러내고 싶어 함

 

예전에 이외수 작가님이 ‘나쁜 놈’의 원래 뜻은 ‘나뿐인 놈’이라고 얘기한 것을 들은 적이 있는데, 아주 적절한 표현인 것 같습니다. 에고가 너무 강해지면 감정을 느끼지 못하는 싸이코패스/소시오패스가 양산되겠죠. 에고의 실체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께는 에크하르트 톨레의 명작 “지금 이 순간을 살아라 (The Power of Now)”도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윤앤리 퍼블리싱 블로그: https://yoonandlee.wordpress.com

윤앤리 퍼블리싱 유튜브 채널: http://www.youtube.com/user/yoonandlee


Leave a comment

Eckhart Tolle가 말하는 “스승”의 정의

다음은 “The Power of Now”와 다른 책에서 본 내용을 짬뽕시킨 것입니다:

“30년 넘게 거리에 앉아 구걸을 하던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낯선 사람이 그의 곁을 지나갔고, 거지는 늘 그렇듯이 기계적인 동작으로 모자를 내밀며 “한 푼 줍쇼”라고 웅얼거렸다. 낯선 사람이 말했다 – “내가 당신에게 줄 수 있는 것은 없습니다.” 낯선 사람은 거지를 자세히 살펴본 후, 다시 입을 열었다 – “깔고 앉아 있는 게 뭔가요?” 거지가 답했다 – “아무 것도 아닙니다. 그냥 오래 된 박스에 불과합니다. 언제부터 깔고 앉아 있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을 정도로 오래된 물건입니다.” 낯선 이가 다시 물었다 – “박스 안에 뭐가 담겨 있는지 들여다 본 적 있으신가요?” 거지가 답했다 – “아뇨. 보면 뭐합니까? 아무 것도 없다니까요.” 하지만 낯선 이는 계속 재촉했고, 거지는 마지 못해 박스를 열어보았다. 박스 안의 내용물을 본 거지는 충격과 기쁨에 벌어진 입을 다물 수 없었다 – 박스 안이 금으로 가득 차 있었기 때문이다.”

저는 여러분에게 아무것도 줄 수 없지만, 박스 안을 들여다 보라고 말을 거는 낯선 사내와도 같은 존재입니다. 아무런 박스가 아니라, 여러분 내면에 간직되어 있는 박스를 열어 보라고 권하는 자입니다.

“하지만 나는 거지가 아닌데요?”

아무리 막대한 부를 가졌다 하더라도 자신의 참 모습과 이를 동반하는 평온의 기쁨을 발견하지 못한 자는 거지입니다.

진정한 스승은 제자에게 가르칠 것도 없고, 줄 것도 없습니다. 스승의 유일한 역할은 제자가 이미 모든 것을 가지고 있고, 모든 것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일깨워 주는 일 뿐입니다.

 

 

소위 말하는 “뉴 에이지(New Age)”가 비판을 받는 이유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저는 그 중에서도 ‘구루(guru)를 자처하며 기존 종교에 질려버린 자들을 끌어들이는 신흥 종교’라는 지적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예전에 블로그에 올렸던 Anita Moorjani도 Lilou와의 인터뷰 중 이런 얘기를 했었습니다:

http://blog.naver.com/krysialove/150159513569

“저는 개인적으로… 어느 누군가를 영적 스승으로 모시는 것을 믿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우리 모두의 품 안에 영적 스승이 이미 자리하고 있거든요. 마음 속의 스승에게 귀를 기울이세요.”

지난 수백, 수천 년에 걸쳐 엘리트들이 세상을 지배하고, 각종 음모를 꾸며오면서 오늘날 New World Order의 도래를 획책하고 있는 이유는 그들이 악당들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것이 가능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남에게 의지하고 누군가 다 해 주기를 바라는 사람들(‘XX가 다 해 주실거야…’)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sheeple’이라는 용어를 쓰는 듯…)

‘깨어난다’는 것은 이런 자체 속박 상태에서 벗어남을 의미한다는 생각이 요즘 들어 부쩍 들고 있습니다. 이게 가장 시급합니다… 그런 면에서 Eckhart Tolle 아저씨의 말이 많이 공감이 갑니다.

그냥 주저리 주저리 해 봤습니다~~^^